목차
안녕하세요 짠뭉이입니다.
오늘은 스테이블 코인 개념,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1. 스테이블 코인이란?
가치가 고정된 암호화폐라는 종류 전체를 아우르는 말입니다.
1코인의 가치를 1달러나 1유로, 1000원 등에 연동시켜서 가격 변동이 없도록 만든 모든 암호화폐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2. USDT / USDC
스테이블코인에 속하는 하나의 코인 개념으로 미국 1달러의 가치를 따라갑니다.
USDT는 테더라는 회사에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의 상품명이며, USDC는 써클이라는 회사에서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구분 | USDT (테더) | USDC (USD 코인) |
한 줄 요약 | 시장 점유율 1위의 '원조' 디지털 달러 | 규제와 투명성을 앞세운 '신뢰'의 디지털 달러 |
발행사 | 테더 (Tether) | 서클 (Circle) |
담보 자산 | 미국 단기 국채, 현금 외에 기업어음, 유가증권 등 다소 복잡한 자산 포함 가능 | 현금 및 미국 단기 국채 등 매우 안전하고 투명한 자산으로만 구성 |
투명성 | 자체적인 자산 증명 공개 | 매월 글로벌 회계법인의 감사 보고서 발행 |
주요 사용처 | 전 세계, 특히 해외 거래소에서의 선물/파생상품 거래 | 미국 기반의 거래소, 디파이(DeFi), 기관 투자자 |
(1) USDT (테더)
: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어 쉽게 가치가 흔들리지 않는 네트워크 효과를 가지고 있음
하지만 "정말 그 돈을 다 가지고 있을까?" 라는 의심이 USDT의 가장 큰 아킬레스건입니다. 과거에 발행량만큼의 달러를 100%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의혹이 여러 번 제기되었습니다. 만약 모든 투자자가 한꺼번에 USDT를 달러로 바꿔달라고 요구하는 '테더런'이 발생할 경우, 1달러 가치가 무너질 수 있다는 잠재적 위험이 존재합니다. 물론, 지금까지는 수많은 위기 속에서도 1달러 가치를 성공적으로 방어해왔습니다.
(2) USDC (서클)
매달 세계적인 회계법인(과거 Grant Thornton 등)을 통해 "우리는 발행한 USDC만큼의 현금과 미국 단기 국채를 100% 보유하고 있습니다"라는 감사 보고서를 발행합니다. 또한, 미국 금융 당국의 규제 틀 안에서 운영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습니다.
매달 세계적인 회계법인(과거 Grant Thornton 등)을 통해 "우리는 발행한 USDC만큼의 현금과 미국 단기 국채를 100% 보유하고 있습니다"라는 감사 보고서를 발행합니다. 또한, 미국 금융 당국의 규제 틀 안에서 운영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습니다
'짠뭉이의 머니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한국 주식 테마 총정리 (0) | 2025.10.08 |
---|---|
매수매도 타이밍 잡는 차트 분석법 정리 (0) | 202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