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매일지/연금저축

연금저축계좌 포토폴리오 포트 조정일지 2025년 10월

by 짠뭉이 2025. 10. 8.

목차

    안녕하세요 짠뭉이입니다.

    오늘은 연금저축계좌 포토폴리오 포트 조정일지를 작성해보고자 합니다. (2025년 10월 기준)

     

    매월 26일마다 오전 11시 최우선 지정가로 자동매수 되도록 설정해두었습니다 (한국투자증권)

    금년도는 연금저축계좌를 새로 개설한 해이기도 해서 월 20만원씩만 소소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패시브) TIGER 미국 S&P 500 ETF : 월 120,000원

    액티브) TIMEFOLIO 미국 나스닥 : 월 80,000원

     

    계속 종목을 변경해서 ETF 수집가처럼 보이긴 하네요..

    나이와 상황을 고려했을 때, 현재 배당주보단 성장주 위주로 모으는 게 맞다고 판단되어 종목을 변경하였습니다.

     

    원래는 TIMEFOLIO 슨피와 나스닥으로 모두 구성하고자 했으나

    패시브가 메인, 액티브가 서브로 진행하는 게 안전하다고 하여 일단 이렇게 구성해봤습니다.

    수익률은 분기마다 비교해가면서 추후 포폴 변경 시 참고하고자 합니다.

     

    패시브 ETF란?

    시장 전체의 평균 성과를 꾸준히, 싸게, 안정적으로 따라가려는 투자입니다.

    패시브의 장점은 저렴한 비용으로 시장 평균만큼의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결코 시장 평균을 뛰어넘는 초과 수익을 얻을 수 없습니다.

     

    액티브 ETF란?

    시장보다 빠르게 움직이며 테마, 산업, 트렌드에 맞게 초과 수익을 노리는 전략입니다.

    장점으로는 펀드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시장 평균을 뛰어넘는 초과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높은 비용과 불확실성을 감수해야하며 오히려 시장보다 못한 성과를 낼 위험이 있습니다.

     

    구분 패시브 ETF (Passive ETF) 액티브 ETF (Active ETF)
    운용 방식 특정 **지수(Index)**를 그대로 추종 펀드매니저가 종목을 선별 / 비중을 조정
    대표 예시 S&P500, NASDAQ100, KOSPI200, 미국채10년 AI·로봇 ETF, 금액티브, 2차전지액티브 등
    운용 주체 알고리즘(기계적) / 자동화된 인덱스 복제 전문 운용인력 / 리서치 기반 운용
    수수료(보수) 낮음 (0.05~0.3%) 높음 (0.5~1.0% 이상)
    성과 기준 “시장 평균 수익률” 추구 “시장 초과 수익률(알파)” 추구
    위험 수준 변동성 낮음 / 예측 가능 변동성 높음 / 판단 리스크 존재
    리밸런싱 고정 주기 (예: 분기별, 반기별 자동 교체) 수시 조정 가능 (운용사 판단에 따라)
    적합 투자자 장기, 안정형, 초보~중급 적극적, 성장형, 중~고급
    장점 ✅ 투명 / 예측 가능 / 저비용 / 장기복리 유리 ✅ 빠른 테마 대응 / 초과 수익 기회
    단점 ❌ 초과 수익 어려움 / 지수 하락 시 그대로 하락 ❌ 운용자 의존 / 수수료 높음 / 성과 편차 큼